Windows 에서 Django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Aws에 올리기 위해 Git bash를 우선 설치해줍니다.
Git bash에서 명령어 사용이 훨씬 수월하기 때문입니다.
다운로드는 여기서
https://gitforwindows.org/
우선장고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한 후 해당 폴더에서 Git bash를 열어 줍니다.
가상환경 만들기
- 가상 환경은 파이썬 프로젝트별 독립된 공간
- 독립된 가상 환경을 통해 다운로드한 라이브러리들이 충돌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함
- 외부 라이브러리는 해당 프로젝트에 종속되며 다른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음
해당 폴더에서 가상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.
이후 가상 환경을 활성화 시켜줍니다.
아래 이미지와 같이 괄호안에 가상환경이 표시된다면 정상적으로 활성화 된 것입니다.
아래의 명령어로 Django를 설치해줍니다.
Django 프로젝트를 생성해줍니다.
해당 프로젝트에 앱을 생성해줍니다.
아래의 그림대로 설정을 해줍니다.
- ALLOWED_HOSTS => '*'
- LANGUAGE_CODE = 'ko-kr'
- TIME_ZONE = 'Asia/Seoul'
- STATIC_ROOT = BASE_DIR / 'staticfiles/'
또 INSTALLED_APPS에 생성한 앱과 rest_framework를 추가해줍니다.
배포 후 테스트를 위해 간단한 html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.
이때 html의 경로는 앱 > templates(폴더생성) > 앱과 동일한 폴더 생성 > html 파일 경로에 위치해야합니다.
myapp/templates/myapp/index.html
mysite/urls.py
이후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migration을 진행해줍니다.
migration의 경우 model 생성 및 수정에 대한 사항을 Django에 전달하는 것입니다.
서버를 실행해줍니다.
이후 아래의 주소로 들어갑니다.
http://127.0.0.1:8000/
이렇게 Django의 간단한 배포가 끝났습니다.
그런데 아직 끝난게 아닙니다~!!
위에서 가상환경을 만들어준 이유가 라이브러리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말씀드렸죠??
그래서 Django의 경우 현재 프로젝트에 사용한 패키지를 서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기 위해 requirements.txt 를 만들어 두는 것이 좋습니다.
해당 명령어를 실행할 경우 requirements.txt에 현재 패키지 리스트가 저장이 됩니다.